The Life Code

북대문은 왜 없을까? 궁금증 해결, 제대로 즐기는 법

 

잠깐의 짬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성화되어 버스나 지하철에서 잠깐 잠깐 즐길 수 있는 놀이이다. 게다가 지식도 쌓고 궁금증도 해결할 수 있으니 더할 나위 없다. 인터넷에서 궁금한 정보를 지식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것. 참 쉽다.

 

지식검색 또는 지식검색 서비스는 인터넷 누리꾼들이 서로 묻고 답하면서 정보를 만들어 가는 공동체 서비스를 말한다. 다른 말로 지식검색공동체, 지식 기반 공동체로 부르기도 하지만,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는 역시 네이버의 지식인 서비스다. 지식검색은 내가 궁금해 하는 질문을 하면, 누리꾼들이 답을 적어 놓는 식으로 서비스가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내가 궁금해 하는 내용은 다른 누리꾼들도 궁금해 할 테니 이미 답이 올라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실 대한민국 최초의 지식검색 서비스는 2000년 10월 한겨례신문 온라인판에서 운영되어 폭발적인 호응을 얻었으나 수익모델의 부재로, 아니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유료화 이후 이용이 급감하여 서비스를 접게 되어 이를 다른 포털 회사에서 발전시킨 모델의 지금의 지식검색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어떤 궁금증을 해결해 볼 수 있을까?

동대문, 서대문, 남대문은 있는데 북대문은 없나요?
우리나라에서 돈을 제일 많이 버는 20명은 누구인가요?
우리나라 직장인의 2024년 평균 년봉이 얼마죠?
슈퍼스타 K2 장재인이 최근에 곡을 발표했다고 들었는데요.

네이버.지식인
feat. 네이버 지식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뿐만 아니라 국제정세, 연예게 소식, 직장인의 삶, 주식투자 기법 등 없는 질문과 없는 답이 없다.

 

한데 답이 틀리거나 부족하다고 분개해서는 안 된다. 참을성 없는 독자라면 지식서비스도 놀이가 아닌 일이 되기 쉽다. 지식검색서비스는 질문과 답변 내용이 대중성을 띠므로 비 엘리트적, 비 귄위적이라는 특징이 있는 반면, 답변은 개인의 경험에 따른 조언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고민스러운 질문을 했는데 답을 소위 초등학생이 작성하는 경우이다. 답글 밑에 다른 답글이 달리고 마지막에는 서로가 서로를 초등학생이냐고 비방하는 답변 역시 허다하다. 그 역시 재미를 가지고 읽어 가면 그만이다. 싸움 구경보다 더 재미있는 것이 있으랴?

 

“나는 진중한 답을 원한다.”라고 항변하는 독자라면 지식인 검색 서비스보다 권위있는 위키피디어를 이용하기를 권한다. 정학하고 냉정한 답을 들려줄 것이나 재미는 상대적으로 찾아 보기 어렵다. 좀 더 적극적인 독자라면, 질문을 만들어 올려 보는 것도 좋다. 아니면 틀린 답을 찾아 수정해 보는 것도 재미있다.

 

이제 붐비는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빈 자리를 노리는 하이에나가 되기 보다 재미와 지식을 동시에 갈구하는 멋진 지식인이 되어 보자.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반응형